《괴물(The Host, 2006)》은 한국 영화사에 깊은 흔적을 남긴 작품입니다. 봉준호 감독 특유의 사회 풍자와 장르의 결합 능력이 집약된 이 영화는 단순한 괴수 영화가 아니라, 국가 시스템의 허점과 가족애, 그리고 생존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문제작입니다. 송강호, 변희봉, 배두나, 고아성 등 한국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하며, 인간성과 유머, 긴장감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수작으로 평가받습니다.
한강에서 정체불명의 괴생명체가 나타나 사람들을 공격하고, 평범한 노점상 가족인 박강두(송강호)의 딸 현서(고아성)가 괴물에게 납치됩니다. 정부는 괴물이 바이러스를 옮긴다고 주장하며 사건을 은폐하려 하고, 피해자 가족은 사실상 고립된 채 스스로 딸을 구출하기 위한 싸움에 나섭니다. 영화는 이 과정에서 한 가족의 헌신, 국가 시스템의 무능함, 외세의 개입, 그리고 언론의 왜곡 등을 꼬집으며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괴물》은 단순히 공포를 유발하는 괴수가 아니라, 시스템 그 자체의 ‘괴물성’을 조명합니다. 영화 초반 미군의 명령으로 한강에 포름알데히드를 방류하는 장면은 실제로 있었던 사건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외세의 무책임한 개입을 비판합니다. 또한 정부의 대응은 무능하고, 가족은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한 채 자력 구제를 선택합니다. 영화가 말하는 '괴물'은 어쩌면 한강에서 튀어나온 생물이 아니라, 인간의 이기심과 국가 시스템일 수 있습니다.
《괴물》은 국내외에서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호평받았습니다. 칸 국제영화제 감독주간 초청, 아시안 필름 어워드 수상, 시체스 영화제 기술상 수상 등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이후 봉준호 감독이 《설국열차》, 《기생충》으로 이어지는 세계적 감독 반열에 오르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괴물》은 단순한 괴수 영화가 아닌, 한국 사회의 병리와 가족애, 그리고 인간의 생존 본능을 그려낸 명작입니다.
봉준호 감독의 초기작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이 작품은 지금 봐도 전혀 낡지 않은 영화입니다. 넷플릭스 혹은 OTT 플랫폼에서 다시 감상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